Language/IT 15

카카오톡 입력 중 상태보기 업데이트 후기 및 해제 하기

카카오톡 최신 업데이트부터 상대방이 메시지 입력 중 일때의 상태가 표시된다. 사실 거의 모든 메신저가 지원하는 기능인데, 우리나라 사람들중에는 카카오톡만을 사용하는 사람들도 많아서 어색하게 느끼거나 불편하는 느끼는 사람도 있는 것 같다. 예를 들면 메시지 입력을 할까 말까 고민이 상대방에게 보인다고나 할까? 그래서 입력 중 업데이트에 대해서 알아보고 해제하는 방법도 알아보자. 기능 살펴보기업데이트 내용은 단순하다. 만약 상대방이 메시지를 입력 중라면 아래와 같이 상대방에게 입력중이라는 정보가 노출된다. 해제하기해당 기능을 해제한다는 것은 기존 버전의 카카오톡의 기능으로 돌아간다는 것이다. 상대방이 입력 중인지 알 수 없고, 내가 입력 중인지도 알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먼저 채팅탭에서 오른쪽 상단 위의 ..

Language/IT 2025.05.18

카카오톡 챗봇으로 미니미 생성하기 (카카오톡 챗봇 사용하기)

카카오톡 업데이트가 되면서 오픈채팅방을 제외하고 모든 방에서 챗봇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재미가 있는 기능으로 보여서 사용법을 소개해본다. 챗봇 사용하기일단 오픈채팅방을 제외하고 오른쪽 상단의 물결 무늬 메뉴를 누르면 다음과 같은 메뉴들이 나오는데 챗봇 beta라는 메뉴가 생겼다. 현재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챗봇들이 있어서 초대를 해서 사용을 하면 된다. 위에 사용법도 소개되어있다. 챗봇 사용법은 @ 멘션으로 호출하거나 / 메뉴를 이용하면 된다. 각 챗봇마다 도움말도 있으니 확인하고 사용해보자. 샤인봇으로 미니미 만들기먼저 샤인봇을 초대하자. 초대가 되면 아래와 같이 메시지가 나온다. 그런 다음 @샤인 미니미생성이라고 입력한다. 얼굴 사진 업로드를 클릭하면 업로드 창이 뜬다. 이제 사진을 첨부하고,..

Language/IT 2025.05.16

Netcat

넷캣(Netcat)은 TCP나 UD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연결에서 데이터를 읽고 쓰는 간단한 유틸리티 프로그램이다. 일반적으로는 UNIX의 cat과 비슷한사용법을 가지고 있지만 cat이 파일에 쓰거나 읽듯이 nc는 network connection 에 읽거나 쓴다. 이것은 스크립트와 병용하여 network에 대한 debugging, testing tool로써 매우 편리하지만 반면 해킹에도 이용범위가 넓다. 출처 : http://devanix.tistory.com/307

Language/IT 2016.02.17

CQS - Command Query Separation

Command–query separation (CQS)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원칙이다. 이것은 Bertrand Meyerd의 Eiffel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고안되었다. 모든 메소드는 한번의 액션에서 상태를 변경하는 커맨드든 데이터를 반환하는 쿼리든 한가지 액션만 취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질문을 할때 대답을 변경하지 말라는 것이다. 더 정확하게는 메소드는 값을 반환할 때 referentially transparent(시스템의 상태를 변경하지 않을 때 함수를 referentially transparent하다고 함)해야 하며 사이드 이펙트를 유발하지 말아야 한다. 여기 CQS 원칙을 위반한 단순한 예제이다. 그러나 멀티 스레드 소프트웨어에서 유용한 예이기도 하다. 살태를 변경..

Language/IT 2015.07.20

ACL

컴퓨터 보안에서 접근 제어 목록(ACL, access control list) 또는 액세스 제어 목록은 개체나 개체 속성에 적용되어 있는 허가 목록을 말한다. 이 목록은 누가 또는 무엇이 객체 접근 허가를 받는지, 어떠한 작업이 객체에 수행되도록 허가를 받을지를 지정하고 있다. 전형적인 ACL에서 목록 안의 각 항목은 주제나 운영을 지정한다. 이를테면 XYZ 파일에 대한 ACL 위의 항목(Alice, delete)은 Alice에게 XYZ 파일을 삭제할 허가 권한을 제공한다.ACL 기반 보안 모델에서, 객체가 어떤 한 객체에 작업 수행을 요청할 때, 시스템은 먼저 적용할 수 있는 항목의 목록을 확인하여 운영의 처리 여부를 결정한다. 출처 : wikipedia

Language/IT 2015.03.11

StAX

stAX(Streaming API for XML)는 XML 문서를 처리하는 자바 API로서, 기존 DOM 및 SAX에 추가된 API이다.기존 XML API는 2가지 방식이었다.트리 기반 : 문서 전체를 트리(Tree) 구조로 메모리로 읽어서 랜덤하게 접근이 가능하다.이벤트 기반 : 문서의 한 항목식 이벤트가 발생하여 응용 프로그램에서 처리한다.2가지 방식은 각각 보완작용을 한다. 트리 기반(DOM)은 문서의 구조 해석이 가능하고, 이벤트 기반(SAX)은 메모리를 적게 사용하면서 신속한 작동이 가능하다.StAX는 이러한 방식의 중간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StAX 방식은 프로그램의 동작점, 즉 문서의 한지점을 가리키는 커서가 있는 방식이다. 이러한 이유로 응용 프로그램은 필요에 따라 정보를 추출할 수 있게 ..

Language/IT 2015.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