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카카오톡 최신 업데이트부터 상대방이 메시지 입력 중 일때의 상태가 표시된다. 사실 거의 모든 메신저가 지원하는 기능인데, 우리나라 사람들중에는 카카오톡만을 사용하는 사람들도 많아서 어색하게 느끼거나 불편하는 느끼는 사람도 있는 것 같다. 예를 들면 메시지 입력을 할까 말까 고민이 상대방에게 보인다고나 할까? 그래서 입력 중 업데이트에 대해서 알아보고 해제하는 방법도 알아보자.

 

기능 살펴보기

업데이트 내용은 단순하다. 만약 상대방이 메시지를 입력 중라면 아래와 같이 상대방에게 입력중이라는 정보가 노출된다.

 

해제하기

해당 기능을 해제한다는 것은 기존 버전의 카카오톡의 기능으로 돌아간다는 것이다. 상대방이 입력 중인지 알 수 없고, 내가 입력 중인지도 알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먼저 채팅탭에서 오른쪽 상단 위의 톱니바퀴 클릭한 후 전체설정을 클릭한다.

 

설정에는 다양한 메뉴들이 있는데, 스크롤하여 하단에 있는 실험실을 클릭한다.

 

실험실 이용하기를 비활성화 상태라면 활성화 시킨 후 메시지 입력중 상태 보기를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하면 된다.

 

그리고 테스트를 해보면 내가 입력 중일때도 나의 상태가 상대방에게 전달되지 않고, 상대방이 입력 중일때도 상대방의 상태를 알 수 없게 된다. 만약 입력 중 업데이트가 불편하다면 위와 같이 설정하여 이전의 카톡 기능으로 돌아가보자.

반응형

'Language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톡 챗봇으로 미니미 생성하기 (카카오톡 챗봇 사용하기)  (8) 2025.05.16
HAProxy  (2) 2016.07.26
Netcat  (0) 2016.02.17
minimum granularity  (0) 2016.01.26
CQS - Command Query Separation  (0) 2015.07.20
반응형

카카오톡 업데이트가 되면서 오픈채팅방을 제외하고 모든 방에서 챗봇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재미가 있는 기능으로 보여서 사용법을 소개해본다.

 

챗봇 사용하기

일단 오픈채팅방을 제외하고 오른쪽 상단의 물결 무늬 메뉴를 누르면 다음과 같은 메뉴들이 나오는데 챗봇 beta라는 메뉴가 생겼다.

 

현재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챗봇들이 있어서 초대를 해서 사용을 하면 된다. 위에 사용법도 소개되어있다.

 

챗봇 사용법은 @ 멘션으로 호출하거나 / 메뉴를 이용하면 된다. 각 챗봇마다 도움말도 있으니 확인하고 사용해보자.

 

샤인봇으로 미니미 만들기

먼저 샤인봇을 초대하자. 초대가 되면 아래와 같이 메시지가 나온다.

 

그런 다음 @샤인 미니미생성이라고 입력한다.

 

얼굴 사진 업로드를 클릭하면 업로드 창이 뜬다. 이제 사진을 첨부하고, 개인정보 수집 동의를 클릭하고 이미지 보내기를 클릭한다.

 

그러면 최종결과로 나를 닮은 미니미를 획득할 수 있다. 5분이 걸린다고 하는데 30초도 안 걸리는 것 같다.

반응형

'Language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톡 입력 중 상태보기 업데이트 후기 및 해제 하기  (0) 2025.05.18
HAProxy  (2) 2016.07.26
Netcat  (0) 2016.02.17
minimum granularity  (0) 2016.01.26
CQS - Command Query Separation  (0) 2015.07.20
반응형

HAProxy는 TCP와 HTTP 기반 어플리케이션이 여러대의 서버에 배포되어있을 경우 고가용성 로드 밸런서와 프록시 서버를 제공하는 무료,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이다. C로 작성되었으며 빠르고 효율적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HAProxy는 GitHub. BitBucke, Stack Overflow, Tumblr, Twitter 그리고 아마존 웹서비스의 OpsWork 제품에서 사용되고 있다.


출처 : 위키피디아

반응형
반응형

넷캣(Netcat)은 TCP나 UD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연결에서 데이터를 읽고 쓰는 간단한 유틸리티 프로그램이다. 일반적으로는 UNIX의 cat과 비슷한

사용법을 가지고 있지만 cat이 파일에 쓰거나 읽듯이 nc는 network connection 에 읽거나 쓴다. 이것은 스크립트와 병용하여 network에 대한 debugging, testing tool로써 매우 편리하지만 반면 해킹에도 이용범위가 넓다.


출처 : http://devanix.tistory.com/307

반응형

'Language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톡 챗봇으로 미니미 생성하기 (카카오톡 챗봇 사용하기)  (8) 2025.05.16
HAProxy  (2) 2016.07.26
minimum granularity  (0) 2016.01.26
CQS - Command Query Separation  (0) 2015.07.20
synchronization primitives  (1) 2015.03.12
반응형

minimum granularity 


process에 부과된 최소 timeslice

반응형

'Language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Proxy  (2) 2016.07.26
Netcat  (0) 2016.02.17
CQS - Command Query Separation  (0) 2015.07.20
synchronization primitives  (1) 2015.03.12
race condition  (0) 2015.03.12
반응형

Command–query separation (CQS)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원칙이다. 이것은 Bertrand Meyerd의 Eiffel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고안되었다.


모든 메소드는 한번의 액션에서 상태를 변경하는 커맨드든 데이터를 반환하는 쿼리든 한가지 액션만 취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질문을 할때 대답을 변경하지 말라는 것이다. 더 정확하게는 메소드는 값을 반환할 때 referentially transparent(시스템의 상태를 변경하지 않을 때 함수를 referentially transparent하다고 함)해야 하며 사이드 이펙트를 유발하지 말아야 한다.


여기 CQS 원칙을 위반한 단순한 예제이다. 그러나 멀티 스레드 소프트웨어에서 유용한 예이기도 하다. 살태를 변경하는 메소드와 그것을 리턴하는 내용이 함께 존재하므로 CQS 위반이다.


private int x;

public int increment_and_return_x()

{

  lock x;   // by some mechanism

  x = x + 1;

  int x_copy = x;

  unlock x; // by some mechanism

  return x_copy;

}


다음은 CQS를 따른 패턴이다. 하지만 싱글 스레드 어플리케이션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멀티 스레드 프로그램에서는 콜러 race condition이 발생할 수 있다.


private int x;

public int value()

{

  return x;

}

void increment()

{

  x = x + 1;

}


마침내 스레드 세이프한 CQS 패턴이다. 


private int x;

private int _x;

public int value()

{

  return x;

}

void increment()

{

  lock _x;   // by some mechanism

  _x = _x + 1;

  x = _x;

  unlock _x; // by some mechanism

}


출처 : Wikipedia

반응형

'Language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cat  (0) 2016.02.17
minimum granularity  (0) 2016.01.26
synchronization primitives  (1) 2015.03.12
race condition  (0) 2015.03.12
ACL  (0) 2015.03.11
반응형

transitive


① 과도적  ② 타동사  ③ 타동사  


quantum leap


① 양자 비약  ② 비약적 발전  ③ 엄청난 비약


utmost


① 최선  ② 최대한  ③ 최고  ④ 극도  ⑤ 최우선


suppleness


① 유순함  ② 유연함


state-of-art


최첨단 기술을 이용한  ②최신식의  ③최고 기술 수준의

반응형

'Language > English'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03 단어공부  (1) 2015.03.03
2015/02 단어 공부  (0) 2015.02.02
2015/01 단어 공부  (1) 2015.01.05
2014/12 단어 공부  (0) 2014.12.24
반응형

Synchronization primitives는 플랫폼에 의해 제공되는 단순한 소프트웨어 메커니즘이다. 이것은 목적은 스레드나 프로세스의 동기화이다. 일반적으로 저수준의 메커니즘이다. (e.g. atomic operations, memory barriers, spinlocks, context switches etc).


출처 : stackoverflow

반응형

'Language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minimum granularity  (0) 2016.01.26
CQS - Command Query Separation  (0) 2015.07.20
race condition  (0) 2015.03.12
ACL  (0) 2015.03.11
StAX  (0) 2015.03.10
반응형

전산학에서 경쟁 상태란 공유 자원에 대해 여러 개의 프로세스가 동시에 접근을 시도하는 상태를 말한다. 동시에 접근할 때 자료의 일관성을 해치는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프로세스 협력 기법이 필요하다.


출처 : wikepedia

반응형

'Language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CQS - Command Query Separation  (0) 2015.07.20
synchronization primitives  (1) 2015.03.12
ACL  (0) 2015.03.11
StAX  (0) 2015.03.10
uber jar  (1) 2015.03.05
반응형

컴퓨터 보안에서 접근 제어 목록(ACL, access control list) 또는 액세스 제어 목록은 개체나 개체 속성에 적용되어 있는 허가 목록을 말한다. 이 목록은 누가 또는 무엇이 객체 접근 허가를 받는지, 어떠한 작업이 객체에 수행되도록 허가를 받을지를 지정하고 있다. 전형적인 ACL에서 목록 안의 각 항목은 주제나 운영을 지정한다. 이를테면 XYZ 파일에 대한 ACL 위의 항목(Alice, delete)은 Alice에게 XYZ 파일을 삭제할 허가 권한을 제공한다.

ACL 기반 보안 모델에서, 객체가 어떤 한 객체에 작업 수행을 요청할 때, 시스템은 먼저 적용할 수 있는 항목의 목록을 확인하여 운영의 처리 여부를 결정한다.


출처 : wikipedia

반응형

'Language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ynchronization primitives  (1) 2015.03.12
race condition  (0) 2015.03.12
StAX  (0) 2015.03.10
uber jar  (1) 2015.03.05
Bloom filter  (0) 2014.12.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