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라이프사이클

메이븐에서는 라이프사이클이라고 해서 자체적으로 정의하고 있는 빌드단계를 정의하고 있다. 앤트와 같이 순서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빌드시 필요한 과정을 기정의하여 제공한다. 메이븐에서는 3개의 라이프사이클을 정의하고 있는데 빌드를 담당하는 Default, 제거를 담당하는 Clean, 배포를 담당하는 Site 라이프사이클이 존재한다.

페이즈

각 라이프사이클에서 수행하는 각 단계를 페이즈라고 정의하고 있다. 각 단계마다 실제적인 작업을 명시하여 본인이 수행하고 싶은 작업을 추가할 수 있다. 다음은 메이븐에서 정의하고 있는 페이즈들이다.

Clean :
pre-clean, clean, post-clean

Default :
validate, initialize, generate-sources, process-sources, generate-resources, process-resources, compile, process-classes, generate-test-sources, process-test-sources, generate-test-resources, process-test-resources,
test-compile, process-test-classes, test, prepare-package, package, pre-integration-test, integration-test, post-integration-test, verify, install, deploy

Site :
pre-site, site, post-site, site-deploy

주요 페이즈

clean : 이전 빌드에서 생성된 모든 파일을 삭제한다.

compile : 프로젝트의 소스코드를 컴파일한다.
test : 테스트코드를 수행한다.
package : 컴파일된 소스를 jar, war등 정해진 포맷에 따라 패키징한다.
install : dependcy가 있는 다른 프로젝트에서 사용하기 위해 본인의 로컬 저장소(PC)에 설치한다.
deploy : 다른 개발자나 프로젝트에서 참조하기 위해 원격 저장소에 배포한다.

site : 프로젝트의 site 문서를 생성한다.
site-deploy : site 문서를 web sever에 배포한다.




반응형

'Programming > Maven'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ven 프로젝트 생성하기  (0) 2012.05.29
Maven 시작하기  (0) 2012.05.08
반응형

아키타입

메이븐에서는 기본적인 프로젝트 구조를 미리 정의하여 제공하는데 이를 아키타입이라고 한다.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아키타입과 사용자들이 아키타입을 정의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생성 시작하기

mvn archetype:generate -DgroupId=com.test -DartifactId=firstProject -DarchetypeArtifactId=maven-archetype-quickstart -DinteractiveMode=false

콘솔에서 위와 같이 입력하고 quickstart 아키타입 형태로 프로젝트를 생성해보자. 콘솔에서 수행한 지점에 프로젝트가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명령을 살펴보면 archetype:generate은 archetype 플러그인의 generate골을 수행하였고, interactiveMode=false로 하여 대화없이 바로 생성을 진행한 것을 알 수 있다.

플러그인에서 생성하기

File > New > Maven > Maven Project를 선택하거나, Package Explorer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New > Maven > Maven Project를 선택한다.


workspace등을 지정하고 Next를 클릭하여 메이븐이 정의하고 있는 아키타입을 선택할 수 있다.


Group Id 및 Artifact Id 기본적인 버젼정보등을 넣고 Finish 버튼을 누르면 프로젝트 생성이 완료 된다.
반응형

'Programming > Maven'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ven 라이프사이클  (0) 2012.05.29
Maven 시작하기  (0) 2012.05.08
반응형
다운로드 및 설치

회사에서 2.2.1버젼을 사용하기 때문에 2.2.1버젼으로 포스팅을 진행하겠다. 
Apache 메이븐 프로젝트 사이트(http://maven.apache.org/)로 가서 다운로드를 받는다.
원하는 위치에 압축을 해제함으로서 설치는 완료된다.


환경설정

시스템 환경변수 PATH에 MAVEN_HOME/bin 디렉토리를 등록한다.

점검

역시 가장 쉽게 설치가 제대로 되었는지 점검하는 방법은 버젼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mvn -version 명령으로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하자. 



Eclipse Plugin 설치하기

기본적으로 메이븐은 커맨드 라인으로 모든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커맨드 라인에서 작업을 하는 것은 굉장히 불편한 일이다. STS에 같은 툴이나 GWT Plugin을 사용하면 이미 메이븐 플러그인이 깔려 있어서 별도의 설치 과정이 필요없기도 하다.
설치는 굉장히 간단하다. 이클립스를 구동시키고 Help > Eclipse Marketplace를 선택하고 maven으로 검색한다. Maven Integration for Eclipse를 선택의 Install을 클릭하여 설치를 시작한다.


반응형

'Programming > Maven'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ven 라이프사이클  (0) 2012.05.29
Maven 프로젝트 생성하기  (0) 2012.05.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