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Java
- docker
- Spring
- 인텔리J
- Gradle
- design pattern
- Storm
- Spring XD
- 도메인주도설계
- elasticsearch
- 제주
- elastic search
- 스프링 배치
- Angular2
- Spring Boot
- Clean Code
- 엘라스틱서치
- intellij
- Hbase
- 일본 백패킹
- scala
- spark
- apache storm
- Spring Batch
- SBT
- hdfs
- nginx
- DDD
- Linux
- hadoop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nullability (1)
욱'S 노트
Option을 사용해야하는 이유/Nested Nullability (Kotlin 함수형 프로그래밍 #4)
예전에 자바를 사용했었다면, NullpointerException을 겪었을 것이다. 널의 가장 큰 문제점은 클라이언트 코드에서 예상할 수 어렵다는데 있었다. 코틀린에서는 ?을 베이스로 null-safety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코틀린에는 nullable type이 있지만, Arrow에 Option 타입이 있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자.fun List.firstOrElse(default: () -> A): A = firstOrNull() ?: default()fun example() { emptyList().firstOrElse { -1 } shouldBe -1 listOf(1, null, 3).firstOrElse { -1 } shouldBe 1} 다음 코드를 예상해보자.fun example()..
Methdology/Functional Programming
2025. 1. 15. 09: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