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elasticsearch
- Spring Batch
- 스프링 배치
- design pattern
- Spring Boot
- Gradle
- 일본 백패킹
- 도메인주도설계
- intellij
- docker
- scala
- Angular2
- Clean Code
- Storm
- elastic search
- SBT
- Spring
- 제주
- Linux
- 엘라스틱서치
- Java
- apache storm
- nginx
- 인텔리J
- 구마모토 백패킹
- Hbase
- hadoop
- Spring XD
- hdfs
- DDD
- Today
- Total
목록io (2)
욱'S 노트
처음에 얘기했다시피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제약이 없다. FP에서 외부효과와 입출력을 다루는 방식이 대해서 알아보자. 핵심은 부수효과를 분리해 내는 것이다.엄격성과 지연성함수는 엄격(strict)할 수 있고, 지연(Lazy)될 수 도 있다. 지연성(Lazyness)를 활용하면 프로그램의 기술과 평가를 분리할 수 있다. Strict function항상 모든 즉시(eager) 탐욕적(greedy)으로 인자를 평가(eager, greddy)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의 표준Lazy function내장 구문(&&, ||, if)에서 지원평가하지 않는 타입은 () → A와 같이 정의. 이와 같은 함수를 썽크(thunk)라고 부름fun lazyIf( cond: Boolean, onTrue: () -> A, /..

IO 모델이란?어플리케이션에서 디바이스간 데이터 전송 및 수신을 위해서는 OS의 시스템콜이 발생한다.write system call의 경우, OS 커널은 전송하고자하는 데이터를 소켓 전송 버퍼에 복사하고, read system call의 경우 OS 커널은 수신 받은 데이터를 소켓 수신 버퍼에 복사한다.Linux IO 기본개념File Descriptor리눅스 혹은 유닉스 계열의 시스템에서 프로세스가 파일을 다룰 때 사용하는 개념이다. 프로세스에서 특정 파일에 접근할 때 사용하는 추상적인 값이며 프로세스에서 열린 파일의 목록을 관리하는 테이블의 인덱스의 인덱스이다. 리눅스(유닉스) 에서는 모든것을 파일로 취급한다.(파일, 소켓 등) 각각의 프로세스는 File desciptors의 테이블을 가지고 있다.I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