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Spring
- 도메인주도설계
- Spring XD
- 인텔리J
- 제주
- Linux
- hdfs
- design pattern
- Storm
- Angular2
- hibernate
- elastic search
- Hbase
- Spring Boot
- SBT
- 스프링 배치
- nginx
- intellij
- Clean Code
- spark
- elasticsearch
- Gradle
- 엘라스틱서치
- Java
- Spring Batch
- hadoop
- DDD
- apache storm
- scala
- docker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2025/02/07 (1)
욱'S 노트
모나드/Monad (Kotlin 함수형 프로그래밍 #10)
모나드를 엔도 펑터 범주에서의 모노이드라고 한다. 무슨 말인가? 앞에서 범주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니, 펑터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자. 펑터(Functor)아래 두가지 범주(카테고리)를 가정해보자범주D - 대상(A, B, C), 사상(f:A → B, g:B → C, h:A → C)범주E - 대상(X, Y, Z), 사상(F(f):X → Y, F(g):Y → Z,F(h):X → Z)대상 대응: 펑터F는 범주 D의 대상 A, B, C를 범주 E의 대상 X, Y, Z로 대응시킵니다. F(A) = X, F(B) = Y, F(C) = Z사상 대응: 펑터F는 범주 D의 사상 f, g, h를 범주 E의 사상 F(f), F(g), F(h)로 대응 시킵니다. F(f) = X → Y, F(g) = Y → Z, F(h) = X →..
Methdology/Functional Programming
2025. 2. 7. 10:00